15
5월
0
Comments
[오픈소스 라이선스 2부] OpenSource 소프트웨어의 개요(2)
1.4. OSS 라이선스의 다양성
- SW 라이선스 분류
- 소스코드 공개 여부에 따른 라이선스 분류
구분 | 무료 라이선스 | 유료 라이선스 |
공개 | 대부분 OSS(Apache, Tomcat, JBoss) | 일부 배포판 OSS(Red Hat, MySQL) |
비공개 |
Freeware(Winzip, RealAudio) |
상용 비공개 소프트웨어 (MS Office, Oracle, Shareware) |
- 주요 공개SW 라이선스 비교
무료 이용가능 |
배포 허용가능 |
소스코드 취득가능 |
소스코드 수정가능 |
2차적 저작물 재공개 의무 |
독점 SW와 결합가능 |
|
GPL | O | O | O | O | O | X |
LGPL | O | O | O | O | O | O |
MPL | O | O | O | O | O | O |
BSD license | O | O | O | O | X | O |
Apache license | O | O | O | O | X | O |
1.5. OSS 라이선스의 수익 모델
- 듀얼 라이센싱 모델
MySQL과 sleepycat(버클리 DB)가 듀얼 라이센싱으로 유명하다.
즉, GPL 버전은 무료로 쓰지만, non-GPL버전을 쓰려면 돈을 내야 한다. (두개 버전이 다르다.)
소프트웨어를 Embed 해서 재판매 하려는 회사에 해당된다.(물론 GPL버전 만으로도 충분하다.) 하지만, GPL버전에 대한 오해로 사람들이 종종 라이센스를 구매하기도 한다. - 코어 오픈 모델
최근 Xen, SugarCRM 과 같은 회사에서 실험하고 있는 모델로서 코어는 무료로 풀고 부가기능에서 수익을 내는 모델이다(대부분 코어 기능 만으로도 충분하긴 하다). 여기서 “판매가치”는 “부가기능”이다.
참고자료
- http://www.etnews.com/20140507000017
- http://www.kakao.com/ko/kakaolink_terms
- https://subokim.wordpress.com/2011/09/28/why-open-source/
- http://www.softwant.com/cgi-bin/kimsq/softwant/openoffice.php?mid=233&r=view&uid=2314
- http://www-07.ibm.com/industries/government/kr/tl/
- http://www.oss.kr/oss_intro06
- 오픈소스 라이선스 가이드 (한국저작권위원회)
- ICT 기업의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(전현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