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9
6월
0
Comments
[백수오와 건강기능식품 3부] 의약품과 약용식물
in 업무사례

최근 벌어진 백수오 사건으로 인하여 건강기능식품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. 이에 본 인텔리콘 법률 사무소에서는 백수오 및 이우엽피소 등 현재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이슈들을 알아보고,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현황 및 제도에 관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. |
1. 의약품(drug)이란?
- 영어 Drug은 프랑스어 Drogue에서 유래된 말로 “마른 풀”이라는 의미
- 일반적으로 “질병에 대한 치료, 예방, 진단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질”을 뜻함.
- 여기서 질병이란 건강한 몸의 조화와 균형을 파괴하는 요소를 뜻함.
- “모든 것은 독이며 독이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. 용량만이 독이 없는 것을 정한다.( Alle Ding’ sind Gift, und nichts ohn’ Gift; allein die Dosis macht, daß ein Ding kein Gift ist.)” – 파라켈수스(Philippus Aureolus Paracelsus, 1493~ 1541)
- 약품(대한민국 약사법)
-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의 진단∙치료 ∙경감∙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
- 사람 또는 동물의 구조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
- 기구기계 및 치과재료, 의료용품, 위생용품, 화장품 등은 대상에서 제외
- 약리 효능 여부와는 관계없이 그 물(物)이 위 목적으로 사용되고 약효가 있다고 표방된 경우에는 이를 모두 의약품으로 인정
- 일반적으로 보았을 때 한 눈에 식품으로 인식되는 과일, 야채, 어패류 등은 제외
2. 의약품의 분류
- 투여 경로별 분류
- 경구용약: 입을 통해 먹는 약, 캅셀제, 정제 등
- 경피용약: 피부나 점막을 통해 흡수되는 약, 패취제, 연고제, 크림제, 겔제 등
- 주사제: 피부혈관을 통해 흡수되는 약
- 경비제: 코의 점막을 통해 흡수되는 약
- 좌제: 항문을 통해 흡수되는 약
- 제형별 분류
- 제형에 따른 분류는 투여경로와 적용부위에 따라 11종으로 대분류되어 있으며, 형상·모양, 기능·특성 순으로 분류를 세분화하고 있다.
경구투여 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Oral Application |
정제, 캡슐제, 과립제, 산제, 경구용 액제, 시럽제, 경구용 젤리제, 다제, 엑스제, 유동엑스제, 환제 |
구강내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oro-mucosal Application |
구강용 정제, 구강용 스프레이제, 구강용 반고형제, 가글제, 구강용해필름 |
주사로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Injection |
주사제 |
투석 및 관류용 제제 Preparations for Dialysis and Irrigation |
투석제, 관류제 |
기관지·폐에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Inhalation |
흡입제 |
눈에 투여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Ophthalmic Application |
점안제, 안연고제 |
귀에 투여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Otic Application |
점이제 |
코에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Nasal Application |
점비분말제, 점비액제 |
직장으로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Rectal Application |
좌제, 직장용반고형제, 관장제 |
질에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Vaginal Application |
질정, 질용좌제 |
피부 등에 적용하는 제제 Preparations for Cutaneous Application |
외용고형제, 외용액제, 에어로솔제, 연고제, 크림제, 겔제, 경피흡수제, 카타플라스마제, 첩부제, 페이스트제 |
*제형: 의약품을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적합한 형태로 만든 것
** 출처: 대한민국약전[시행 2014. 12. 5] 참조
- 원료 성분에 따른 분류
- 식물성 약물
- Alkaloid : 질소함유 알칼리성 유기물. 뿌리나 열매에 많이 함유
- Glycoside(배당체) : 당과 유기물(aglycon) 결합
- Essential oil(정유) : 휘발성 방향성(aroma) 액체
- Resin(수지) : 정유 산화물로서 유기산/알콜류/에스터류의 혼합물. 액체이나 굳는다
- Tannin : phenol성 유도체, 화상과 설사 치료
- 기타 : flavonoid, anthraquinone
- 동물성 약물
- 간 : vit. B12
- 갑상선 : thyroxin
- 췌장 : insulin
- 혈액 : gamma globulin, albumin
- 조직 : heparin(항응고제)
- 기타 의약품
- 합성 : 대부분의 주요 의약품(Sulfa제, Aspirin)
- 미생물 약물 : 항생제 종류
- 광물성 약물 : 철, 마그네슘
- 식물성 약물
3. 약용식물의 분류
- 약용식물의 분류방법
약용식물의 분류는 경험적인 요소를 갖고 있으며,식물학적 분류와 함께 한방의학적인 분류방법도 존재한다.아래의 분류방법들이 존재하지만 같은 식물이 분류방법에 따라 중복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여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.- 식물분류학적 수단에 따른 분류
- 약효에 따른 분류
- 사용되는 지역 또는 민족에 따른 분류
- 약용식물의 이용 부위에 따른 분류
- 함유 성분에 따른 분류
- 분류의 기준
- 형태 : 꽃, 열매, 씨앗, 꽃가루, 잎, 줄기, 뿌리
- 세포 및 내부 조직 : 관다발, 도관, 세포 및 소기관
- 생리, 생화학적 특성 : 질소동화작용, 특정경로
- 생육 습성 : 떡잎형성, 줄기/뿌리신장
- 염색체 : 숫자, 모양, 크기, band
- 생식과정 : 배우자 형성, 수정/종자형성과정, 교잡
- 화석 : 번성 및 생존연대
- DNA 분석
- 분류학 (TAXONOMY)
- 식물학자 칼 본 린네(Carolus Linnaeus)의 분류학이 시초임.
- 구체적인 식물 분류 방법은 다음과 같다.
- 식별 (Identification) : 같음과 다름, 수입종과 재래종, 유사종
- 동정 (specimen determination) : 종 확인, 과학적 분석법, 기존 문헌 비교
- 명명 (nomenclature) : 이름 짓기, 국제 규약 준수
- 유별 (classification) : 유연관계, 동정결과 이용, 분류이론
- 약용식물 분류의 필요성
- 약초 대신 독초 사용 가능성
- 1990년대 벨기에의 한 의사가 중국한의사들이 오랫동안 사용해 온 다이어트용 식물을 오인하여 만여 명이 치명적 신장질환과 암을 유발한 사례가 있음.
- 목방기(Cocculus trilobus) 대신 광방기(Aristolochia fangchi Wu)를 사용한 사례
<목방기> <광방기> - 저가의 야생초가 고가로 둔갑하는 경우가 있음.
- 자생식물과 수입식물의 확인 필요(지역에 따른 차이)
- 약용식물 시장의 유통질서 확립 (이름, 종 혼란)
- 약용식물의 정확한 종 확인 후 처방, 사용해야 함.
- 유사종, 아종과 변종, 품종에 따라 약효가 다를 수 있음.
- 약초 대신 독초 사용 가능성
- 오용하기 쉬운 약초와 독초식물
- 곰취와 동의나물
<곰취> <동의나물> - 곰취
- 취나물 가운데 유독 잎이 크고 둥근 곰취 잎은 향이 그윽하고 맛이 좋아 취나물 중 쌈으로 인기가 높은 식물
- 잎의 길이가 32cm, 폭이 40cm 가량임.
- 잎이 부드럽고 가는 털이 있음
- 취나물 특유의 향이 남
- 동의나물
- 잎은 길이와 폭이 5∼10 cm 정도임
- 잎이 두꺼우며 털이 없고 광택이 남
- 별다른 향이 없음.
- 곰취
- 산마늘과 박새, 은방울꽃, 비비추
- 산마늘
- 항암 효과가 높다고 알려짐
- 맛과 향이 좋아 쌈으로 인기가 높음
- ‘명이나물’이라고도 함.
- 소화 및 식욕 촉진, 콜레스테롤의 감소 등의 효과
-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 잎이 2∼3장이 달림
- 박새
- 뿌리 및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사용
- 옛날 사약 재료의 하나였음.
- 잘못 먹을 경우 구도, 복통, 어지럼증, 혈압 및 맥박 저하, 마비 증세를 유발
- 곧은 아랫부분의 잎이 줄기를 감싸듯 여러 장이 촘촘히 어긋나게 달림.
- 잎가장자리에 털이 많고 주름이 뚜렷함.
- 비비추
- 잎과 꽃이 아름다운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
- 연한 잎은 식용하는데 향긋하며 쓰거나 떫지 않고 감칠맛이 나 산나물처럼 이용됨
- 다 자란 잎의 경우 비비추 잎이 은방울꽃의 잎보다 길이는 다소 작으나 폭은 더 넓음.
- 비비추 잎은 가장자리에 가늘게 잎주름이 나 있으며 빛깔도 은방울꽃의 잎보다 엷은 편임.
- 은방울꽃
-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백합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
- 잘못 먹으면 심부전증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음.
- 산마늘
- 원추리와 여로
<원추리> <여로> - 원추리
- 어린잎은 식감이 부드럽고 맛이 좋아 봄나물로 인기
- 약간의 독성이 있으나 충분히 우리거나 데쳐 먹으면 안전함
- 성장할수록 독성이 증가하므로 새로 돋은 어린잎이 아니면 먹지 말아야 함.
- 통계에 의하면 독초로 인한 식중독 환자의 절반가량이 원추리를 먹고 발생
- 잎에 털이나 주름이 없이 미끈함.
- 여로
- 독초인 여로는 잎에 털이 많고 잎맥 사이에 주름이 나 있음.
- 원추리
- 곰취와 동의나물
*2014. 6. 3 농촌진흥청 보도자료 “독초랑 약초, 닮아도 너~무 닮았잖아!” 참고, 요약
*참고자료
- 건강기능식품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, 2006, 이세정
- 건강기능식품산업 글로벌화 육성방안, 2010, 한국보건산업진흥원
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홈페이지(http://www.foodnara.go.kr/hfoodi/)